최근 들어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을 뜻합니다. 가상현실은 지금까지 수많은 형태로 존재해왔습니다. RPG 게임처럼 게임 속에서 타 유저들과 대결하거나 아이템을 사고 팔 수도 있었습니다. 메타버스는 조금 다릅니다. 기존 가상현실에서는 캐릭터는 캐릭터일 뿐이고 현실 속 나와는 차이가 있는 개념이었죠. 즉 게임에서의 가상 현실은 오로지 게임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일 뿐이고, 그래서 현실 속 자신과 내가 소유한 게임 속 캐릭터는 확실히 구분이 갔는데, 메타버스에서는 현실과 가상 세계의 장벽이 높지 않습니다. 인지 부조화가 일어나죠. 메타버스가 워낙 현실과 흡사하게 만들어지다보니, 가끔 이 속에 있는 내 캐릭터가 진짜 "나"인 것만 같습니다. 나의 또다른 존재가 사는 작은 지구와도 같은 개념이라는 것이죠.
그럼 수많은 메타버스 플랫폼 중 대표적인 소셜 플랫폼 몇가지를 알아볼까요?
1. 제페토_Zepeto https://www.naverz-corp.com/
- iOS, Android 내 구동 가능
- 네이버 Z 에서 제작
- 스마트폰, 타블렛 PC만 가지고 있으면 작동 가능
- MZ 세대가 좋아하는 형태의 귀여운 캐릭터
- 아이템 제작 및 판매로 수익 창출 가능 (3D 프로그램으로 제작 또는 제페토 스튜디오)
- 커뮤니케이션, 게임이 주 컨텐츠
- 10~20대가 주 사용 연령대임
네이버 계열사 네이버 Z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2018년 개발 되었으며 2021년 현재는 메타버스라는 단어가 유행함에 따라 엄청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2억명이라는 유저가 있지만 90%는 해외 유저라고 합니다. 그래서 접속 하게 되면 해외 유저들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습니다.
제페토에는 2021년 9월 기준으로 현재 CU 편의점, 구찌, 크리스찬 루부탱, 랄프로렌,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피스 등등 초대형 브랜드에서 만든 아이템들이 입점해 있으며, 이낙연, 정세균 등등 정치인들 홍보용 맵도 들어와 있습니다. 그 외에 각종 시립 도서관, 대학교 건물을 제페토 속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제페토에서는 아이템을 만들어 판매할 수 있는 제페토 스튜디오와 맵을 제작할 수 있는 제페토 빌드잇을 제공하고 있으며 아이템을 판매 하면 수익도 쏠쏠하게 들어온다고 합니다. 실제로 제페토 크리에이터 렌지_lenge 는 월 수익 최소 1000만원 이상을 아이템 판매로만 벌어들이고 있다고 하네요.
2. 로블록스_Roblox https://www.roblox.com/
- Roblox Corporation 에서 제작
- PC 또는 모바일 앱이 실행되는 모든 기기에서 구동 가능
- 윈도우, 맥OS, 오클러스, XboX, Android, iOS에서 구동
- 아이템 또는 게임을 판매하여 수익 창출
- 커뮤니티 보다는 게임 위주
- 10대가 주로 이용
회사 자체는 1989년 등장했지만 로블록스라는 이름은 2006년부터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월 1억명이라는 경이로운 숫자의 이용자가 있으며 얼마 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었다고 합니다.
전 세계 10대들이 가장 열광하는 게임 중 하나이며, 플레이어는 귀여운 레고 피규어를 연상하게 합니다.
로블록스 내에서 통용되는 화폐는 로벅스라고 하며, 실제 돈으로 환전하거나 구입도 가능합니다.
누구나 아무 맵에 들어갈 수 있는 제페토와의 차이점은 프리미엄이라는 유료 회원만이 입장 가능한 맵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로블록스에서는 게임 맵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이프랜드 Ifland https://ifland.io/
- SKTelecom 에서 제작
- iOS, Android OS에서 구동
- 아이폰, 안드로이드 폰에서만 가능
- 특별한 수익모델은 아직 없음
- 강연이나 모임에 적합한 플랫폼
- 콘텐츠가 많이 부족함
- 10~20대가 주 사용자
SKT에서 만든 메타버스 플랫폼이며, 대학교 오리엔테이션이나 강연을 이프랜드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업데이트가 상당히 느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불편하며, 아직까지 채팅기능이 없어서 혹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메타버스 안에서 자료 교환이 가능한 참신한 기능이 있습니다.
이프랜드에서 파일을 주고 받고, PT를 같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멀티 플랫폼은 지원하지 않는다네요.
4. 디센트럴랜드_Decentraland https://play.decentraland.org/
- 디센트럴랜드에서 제작
- PC만 가능,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필요 X
- 이더리움 기반 디지털 화폐를 사용
- 컨텐츠가 많지 않음
- 20대가 주로 사용
메타버스 속에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PC 웹에서 접속 시 설치하지 않고도 바로 들어갈 수 있으며 통용되는 화폐는 마나(Mana)로, 실제로 암호화폐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접속할 때는 조금 느릴 수가 있습니다.
캐릭터 자체는 상당히 못생겼지만, 암호화폐와 메타버스의 결합이라는 것에서 상당한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5. 어스 2_Earth 2 https://earth2.io/
- Earth 2에서 제작
- PC로만 구동 가능
- 부동산 판매로 수익 창출
- 지구와 동일한 월드 맵
- 가격이 비트코인 급으로 급등 및 급락이 심함
- 주 사용 연령대는 알 수 없음
지구를 위성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현실의 지구를 구성하고, 픽셀 단위로 나눈 뒤 땅을 구매 및 판매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통화는 달러로 통용되며 다른 나라의 땅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구매한 땅은 어느 나라에서 구입했는지 화면에 표시가 된다고 합니다.
처음 구매 가격은 0.1$ 였지만 현재는 너무 많이 올라 투기성이 짙어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땅을 구입하는 것 이외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메타버스가 과연 맞는가? 하는 논란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래는 알 수 없는 일이죠. 현재는 구입한 땅에서 광고도 할 수 있고 나중에 어떻게 변할 지 알 수 없는 일이라 가능성이 큰 플랫폼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활용 방법을 활발하게 논의 중에 있습니다.
6. 페이스북 호라이즌_Facebook Horizon https://www.oculus.com/facebook-horizon/
- Facebook에서 제작
- 구동하려면 오큘러스 VR이 필요
- 수익 모델은 아직 없음
- 실제로 들어가 있는 듯한 생동감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 오큘러스 VR 장비가 있어야 한다는 큰 단점
- 주 사용 연령대 미정
페이스북이 오큘러스를 인수하고 제작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입니다.
데모 버전만 공개된 상태이며 실제 회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분야 등 사람들과의 교류 위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페이스북 사용자가 많이 줄어든 탓에 페이스북 주 수입원인 광고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페이스북에서 자체개발한 스마트폰이 없기 때문에 메타버스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면 다른 플랫폼에 의해 많이 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에 대비하여 페이스북에서도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열과 성을 다하는 중인데요. 다만 기기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큰 단점이 있어서 앞으로의 행보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